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평가기준 개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평가기준 개발

• 글·남민우 KICE 연구위원

남민우
KICE 연구위원

국어교육(현대시)을 전공하였고 국가수준 교과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최근에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이 글은 김현미 외(2024), 김영은 외(2024), 남민우 외(2024)를 재구성한 것임.

들어가는 말

2022년 12월 개정 고시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교과별 교육과정이 2024년부터 학교 현장에 순차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와 방향이 학교 현장에서 실현되도록 지원하기 위해 평가기준 개발이 필요해졌다. 이에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연구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과별 평가기준 개발부터 고등학교 교과별 평가기준 개발까지 단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기준 개발 연구 진행 상황을 살펴보고, 학교 현장에서의 평가기준 활용 방향을 생각해 보기로 한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평가기준 개발 과정 및 현황

평가기준 개발 및 보급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질 관리와 학교에서의 학생평가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7차 교육과정부터 이루어져 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 보급된 평가기준에 대한 학교 현장의 의견을 수용하여 평가기준 관련 용어들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다듬고,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별 평가기준을 개발하기로 하였다.

교과별 평가기준은 ① 성취수준의 일반적 특성 정의 → ②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개발 → ③ 영역별 성취수준 개발 → ④ 성취기준별 성취수준과 영역별 성취수준 연계 및 조정 → ⑤ 교과별 성취수준에 대한 현장적합성 검토(2회) 등의 단계를 거쳐 개발하고 있다. 이때, 성취수준의 일반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및 영역별 성취수준 개발의 기준점으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성취수준의 일반적 특성 규정 등에 따라 개발한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과별 평가기준 중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사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개발 절차에 따라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별 평가기준 개발을 진행 중인데, 개발 상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평가기준 활용 방향

이렇게 개발된 교과별 평가기준은 학교 현장에서 수업 설계 및 학생 평가 과정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첫째,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도달 정도를 예측하고 개념화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취기준은 수업 및 평가의 근거로서 기능하지만, 성취기준 자체는 학생의 수행 수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이에 비해 성취기준별 성취수준은 각 성취기준에 대한 개별 학생의 수행 수준을 예측하고 개념화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성취기준별 성취수준이나 영역별 성취수준을 활용하여 각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도달 정도를 예측, 판단하면서 수업 설계 및 학생 평가 계획 수립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평가기준을 활용하여 평가도구 제작 및 채점기준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취기준별 성취수준은 학생의 도달 정도를 3수준 또는 5수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제작할 평가도구의 난도를 설정하는 데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성취수준은 수준 간 차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생들의 수행 결과를 평정하는 데 필요한 채점기준 개발의 준거로 활용할 수 있다. 어떤 학생의 수행 결과물이 지닌 특성이 4수준의 성취수준 진술문에 제시된 특성과 유사성을 보인다면 4수준으로 채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평가도구 개발 시 평가도구의 난도 설정, 채점기준 개발 시 등급 구분의 기준점 설정 등에 성취수준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 수준에 맞는 수업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수업 설계 시, 지도할 학생에 대한 진단을 통해 학생 수준에 맞는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수업을 준비하고 설계할 때마다 학생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여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도 있다. 이때, 성취기준별 성취수준이나 영역별 성취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 성취수준별 도달 수준에 관한 정보를 활용할 경우, 학생의 수준에 맞는 수업의 수준을 설정하는 데 일정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학생 수준에 맞는 수업 설계에 성취수준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맺음말

이처럼 평가기준은 수업 설계 및 학생 평가 과정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교과별 성취기준이 가르쳐야 할 내용, 학생이 알아야 하고 할 수 있어야 하는 지식과 기능, 태도의 목표를 제시해 준다면, 평가기준은 개별 학생의 다양한 수준에 대한 예측 및 판단, 이를 고려한 수업 설계 및 학생 평가를 가능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실행에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와 방향을 구체적인 수업 및 평가 과정에서 실현하기 위해 평가기준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김영은, 김경희, 김인숙, 김현미, 노은희, 허예지, 김병연, 김은하, 김현종, 노혜정, 박현진, 윤재룡(2024).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성취수준 개발 연구(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24-2.
김현미, 노은희, 이주연, 김수진, 서민희, 이민희, 강원정, 김원예, 백희정, 유영식, 이병기, 제연강, 지영명(2024).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학교 성취수준 개발 연구(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24-11.
남민우, 김영은, 송미영, 이수정, 주형미, 김은하, 이지아, 정은식, 채나미, 한상아(2024).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 공통과목 및 중·고 합본과목 성취수준 개발 연구(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2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