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역량을 반영한
세부 학습영역 평가결과 제공 및 환류 방안

● 글. 김희경 KICE 연구위원

들어가는 말

최근 세계 각국의 공통적인 교육 동향 중 하나는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학교 교육의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는 것이다. 급변하는 사회 환경과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지식·정보 속에서 현대인은 복잡한 삶에 대처할 수 있는 광범위하고 유연한 능력을 갖출 것을 요구받는다.
OECD에서 정의한 바에 따르면, 학교 교육 맥락 속에서의 역량은 학생들이 21세기 사회를 영위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능력을 의미하며, 단순한 지식과 기능의 습득을 뛰어넘어 실제의 복합적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 등을 상호 연계하고 동원하는 능력을 의미한다(OECD, 2018). 이러한 교육 동향에 발맞춰 교육부는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우리나라 학생들이 학교에서 교육받아야 할 핵심역량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역량 기반의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확정·발표했다(교육부, 2015. 9. 23.).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에 따라 교수·학습의 내용 및 방법에서 단순한 암기 위주의 수동적인 학습보다는 실생활과의 연계, 적용 및 참여, 토론, 협력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교육의 성과를 진단하고 환류할 수 있도록 역량 반영 평가결과를 산출·제공해 교육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PISA 평가결과 제공 사례

국외의 다양한 평가결과표 사례들을 조사해 평가결과 산출 및 제공방식의 동향을 파악해본 결과, 학생들의 전반적인 성취도 총점과 함께 역량을 반영한 세부적인 하위 영역들에 대한 평가결과 정보도 제공하고 있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었다.
과학이 주 영역이었던 PISA 2015의 경우, 과학 역량을 ‘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 ‘과학 탐구의 평가·설계’, ‘자료·증거의 과학적 해석’의 3개의 세부적인 하위 영역으로 구분해 국가별 결과를 발표했다(OECD, 2016). 따라서 3개의 과학 세부 역량에 대한 PISA 참여국들의 상대적인 강·약점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었는데, 예를 들어 ‘과학 탐구의 평가·설계’ 영역이 강점인 국가는 싱가포르, 미국 등이며, 대한민국은 ‘자료·증거의 과학적 해석’이 강점인 것을 알 수 있다.

PISA 평가결과 제공 사례

국외의 다양한 평가결과표 사례들을 조사해 평가결과 산출 및 제공방식의 동향을 파악해본 결과, 학생들의 전반적인 성취도 총점과 함께 역량을 반영한 세부적인 하위 영역들에 대한 평가결과 정보도 제공하고 있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었다.
과학이 주 영역이었던 PISA 2015의 경우, 과학 역량을 ‘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 ‘과학 탐구의 평가·설계’, ‘자료·증거의 과학적 해석’의 3개의 세부적인 하위 영역으로 구분해 국가별 결과를 발표했다(OECD, 2016). 따라서 3개의 과학 세부 역량에 대한 PISA 참여국들의 상대적인 강·약점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었는데, 예를 들어 ‘과학 탐구의 평가·설계’ 영역이 강점인 국가는 싱가포르, 미국 등이며, 대한민국은 ‘자료·증거의 과학적 해석’이 강점인 것을 알 수 있다.

표 1 PISA 2015 결과에 나타난 과학 3개 세부 역량에 대한 강약점 국제 비교

※ 국가별로 과학 세부 역량에서의 상대적 강점이 나타난 셀은 ◉로 표시함.
출처: OECD(2016, p.94)의 내용을 발췌하여 번역함.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결과 분석 사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 및 교과역량을 제시하고 역량 평가를 강조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반영해 고등학교는 2019년부터, 중학교는 2020년부터 성취기준 및 교과역량에 근거해 출제한다. 2019년 출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고등학교 수학과 문항을 검토해 교과역량을 반영한 6개 세부 학습영역을 도출했고, 평가에 참여했던 11,518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세부 학습영역별 평가결과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학과 세부 학습영역 가운데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이 높은 성취율 평균(약 71~72%)을 보이는 학습영역은 학습영역 1(연산법칙에 따라 수와 식을 계산하기)과 학습영역 6(자료와 정보의 의미를 분석하고 활용하기)으로 나타났고, 낮은 성취율 평균(약 25~30%)을 보이는 학습영역은 학습영역 4(수학의 여러 내용 사이의 관련성 파악하기)와 학습영역 3(수학적 지식을 이용해 논리적으로 추론하기), 학습영역 5(타 교과 및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 상황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기)로 나타났다.

표 2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고등학교 수학과 세부 학습영역별 성취율(%) 평균

출처: 김희경(2019, p.92)에서 발췌함.

학생 평가결과표 제공 방안

개별 학생에게 교과별 평가결과를 제공할 때, 총점이나 성취 수준과 같이 요약된 정보 외에도 세부 학습영역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면, 자신이 어떤 부분의 학습을 보완해야 하는지, 교과 지식 외에 어떠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고등학교 수학과 분석 사례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은 학생용 평가 결과표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수학과에 대한 4단계 성취 수준(1∼4 수준 또는 노력요망/기초/보통/우수) 외에도 수학과의 6개 세부 학습영역별로 학생 개인의 성취율(빨간색 막대)과 함께 국가 전체 평균 성취율(파란색 막대)을 제시해 본인이 세부 학습영역별로 국가 평균 대비 어느 정도 수준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게 구성했었다. 예시로 제시한 평가결과표에서 이 학생은 수학과에서의 전체적인 성취수준은 3수준(보통)에 해당하며, 세부 학습영역에서의 성취 프로파일을 검토해보면 다른 영역에 비해 ‘수학의 여러 내용 사이의 관련성 파악하기’에 대한 세부 학습영역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세부 학습영역별 성취 특성 패턴에 따른 피드백 방안

교과역량이 반영된 세부 학습영역별 성취율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 패턴을 유형화하여 유사한 성취 특성 패턴을 보이는 집단에 차별화된 교수·학습 전략 및 지원 정책을 수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과학과 결과(분석 대상 중학교 3학년 학생 6,645명)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이 8개 과학 세부 학습영역에 대한 성취 특성 패턴에 따라 ① 미래과학자 잠재 집단, ② 과학 의사소통 함양 집단, ③ 과학적 사고력 함양 집단, ④ 과학적 지식 함양 집단, ⑤ 과학 학습태도 신장 집단, 5개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5개 집단별로 과학과 세부 학습영역에 대한 강약점이 차별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기반으로 취약점을 보완하는 교수·학습 지원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5가지 특성에 따른 집단을 기존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4단계 성취수준과 교차해 그 분포를 파악한 결과, 특히 ‘보통학력’과 ‘기초학력’ 학생집단에서 성취 특성 유형화를 통한 차별적인 교수·학습 전략의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학습영역별 성취 특성 패턴에 따른 피드백 방안

교과역량이 반영된 세부 학습영역별 성취율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 패턴을 유형화하여 유사한 성취 특성 패턴을 보이는 집단에 차별화된 교수·학습 전략 및 지원 정책을 수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과학과 결과(분석 대상 중학교 3학년 학생 6,645명)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이 8개 과학 세부 학습영역에 대한 성취 특성 패턴에 따라 ① 미래과학자 잠재 집단, ② 과학 의사소통 함양 집단, ③ 과학적 사고력 함양 집단, ④ 과학적 지식 함양 집단, ⑤ 과학 학습태도 신장 집단, 5개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5개 집단별로 과학과 세부 학습영역에 대한 강약점이 차별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기반으로 취약점을 보완하는 교수·학습 지원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5가지 특성에 따른 집단을 기존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4단계 성취수준과 교차해 그 분포를 파악한 결과, 특히 ‘보통학력’과 ‘기초학력’ 학생집단에서 성취 특성 유형화를 통한 차별적인 교수·학습 전략의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김희경(2019, p.187)에서 발췌함.

표 3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3학년 과학과 성취 특성 패턴 분석

여기에서 제시한 학생용 평가결과표는 교과별 총점이나 성취수준 등의 총체적인 결과 외에 세부 학습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강약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개개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학습을 위한 피드백을 제시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집단별 성취 특성 분석 예시는 학교 현장에서의 역량교육 성과에 대해 평가 데이터 기반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교사들의 교수·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평가결과 산출 방식을 학생에게 최대한 구체적 진단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의 질 관리 및 교육정책 개선을 위한 실증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각적이고 심도 있게 분석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 교육부(2015. 9. 23.).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발표. 교육
    부 보도자료.

  • 김희경, 김완수, 김수진, 정혜경, 김미림, 김성훈(2019). 국가수준 학업성
    취도 평가 점수 체제 개선 및 결과 활용도 제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9-3.

  • OECD(2016). PISA 2015 results excellence and equity in education.
    Paris: OECD Publishing.

  • OECD(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https://www.oecd.org/education/2030/E2030%20Position%
    20Paper%20(05.04.2018).pdf (2019. 10. 25. 검색).

교과역량을 반영한 세부 학습영역 평가결과 제공 및 환류 방안

● 글. 김희경 KICE 연구위원

김희경 연구위원
KICE 교육평가본부

University of lowa 교육측정평가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ACT 부연구위원 경력이 있다.
현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KICE 교육데이터 통합 관리 및 활용 방안 연구를 수행한 바 있고, 〈교수학습과 하나 되는 형성평가〉를 집필했다.

들어가는 말

최근 세계 각국의 공통적인 교육 동향 중 하나는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학교 교육의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는 것이다. 급변하는 사회 환경과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지식·정보 속에서 현대인은 복잡한 삶에 대처할 수 있는 광범위하고 유연한 능력을 갖출 것을 요구받는다.
OECD에서 정의한 바에 따르면, 학교 교육 맥락 속에서의 역량은 학생들이 21세기 사회를 영위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능력을 의미하며, 단순한 지식과 기능의 습득을 뛰어넘어 실제의 복합적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 등을 상호 연계하고 동원하는 능력을 의미한다(OECD, 2018). 이러한 교육 동향에 발맞춰 교육부는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우리나라 학생들이 학교에서 교육받아야 할 핵심역량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역량 기반의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확정·발표했다(교육부, 2015. 9. 23.).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에 따라 교수·학습의 내용 및 방법에서 단순한 암기 위주의 수동적인 학습보다는 실생활과의 연계, 적용 및 참여, 토론, 협력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교육의 성과를 진단하고 환류할 수 있도록 역량 반영 평가결과를 산출·제공해 교육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표 1 PISA 2015 결과에 나타난 과학 3개 세부 역량에 대한 강약점 국제 비교

※ 국가별로 과학 세부 역량에서의 상대적 강점이 나타난 셀은 ◉로 표시함.
출처: OECD(2016, p.94)의 내용을 발췌하여 번역함.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결과 분석 사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 및 교과역량을 제시하고 역량 평가를 강조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반영해 고등학교는 2019년부터, 중학교는 2020년부터 성취기준 및 교과역량에 근거해 출제한다. 2019년 출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고등학교 수학과 문항을 검토해 교과역량을 반영한 6개 세부 학습영역을 도출했고, 평가에 참여했던 11,518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세부 학습영역별 평가결과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학과 세부 학습영역 가운데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이 높은 성취율 평균(약 71~72%)을 보이는 학습영역은 학습영역 1(연산법칙에 따라 수와 식을 계산하기)과 학습영역 6(자료와 정보의 의미를 분석하고 활용하기)으로 나타났고, 낮은 성취율 평균(약 25~30%)을 보이는 학습영역은 학습영역 4(수학의 여러 내용 사이의 관련성 파악하기)와 학습영역 3(수학적 지식을 이용해 논리적으로 추론하기), 학습영역 5(타 교과 및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 상황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기)로 나타났다.

표 2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고등학교 수학과 세부 학습영역별 성취율(%) 평균

출처: 김희경(2019, p.92)에서 발췌함.

학생 평가결과표 제공 방안

개별 학생에게 교과별 평가결과를 제공할 때, 총점이나 성취 수준과 같이 요약된 정보 외에도 세부 학습영역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면, 자신이 어떤 부분의 학습을 보완해야 하는지, 교과 지식 외에 어떠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고등학교 수학과 분석 사례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은 학생용 평가 결과표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수학과에 대한 4단계 성취 수준(1∼4 수준 또는 노력요망/기초/보통/우수) 외에도 수학과의 6개 세부 학습영역별로 학생 개인의 성취율(빨간색 막대)과 함께 국가 전체 평균 성취율(파란색 막대)을 제시해 본인이 세부 학습영역별로 국가 평균 대비 어느 정도 수준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게 구성했었다. 예시로 제시한 평가결과표에서 이 학생은 수학과에서의 전체적인 성취수준은 3수준(보통)에 해당하며, 세부 학습영역에서의 성취 프로파일을 검토해보면 다른 영역에 비해 ‘수학의 여러 내용 사이의 관련성 파악하기’에 대한 세부 학습영역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출처: 김희경(2019, p.187)에서 발췌함.

표 3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3학년 과학과 성취 특성 패턴 분석

여기에서 제시한 학생용 평가결과표는 교과별 총점이나 성취수준 등의 총체적인 결과 외에 세부 학습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강약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개개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학습을 위한 피드백을 제시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집단별 성취 특성 분석 예시는 학교 현장에서의 역량교육 성과에 대해 평가 데이터 기반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교사들의 교수·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평가결과 산출 방식을 학생에게 최대한 구체적 진단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의 질 관리 및 교육정책 개선을 위한 실증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각적이고 심도 있게 분석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 교육부(2015. 9. 23.).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발표. 교육
    부 보도자료.

  • 김희경, 김완수, 김수진, 정혜경, 김미림, 김성훈(2019). 국가수준 학업성
    취도 평가 점수 체제 개선 및 결과 활용도 제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9-3.

  • OECD(2016). PISA 2015 results excellence and equity in education.
    Paris: OECD Publishing.

  • OECD(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https://www.oecd.org/education/2030/E2030%20Position%
    20Paper%20(05.04.2018).pdf (2019. 10. 25.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