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개정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 적용의
쟁점 및 적용 방안

2022 개정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 적용의
쟁점 및 적용 방안

• 글·배주경 KICE 연구위원

배주경
KICE 연구위원

영어교육을 전공했으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수행평가 및 과정중심평가 도구 개발 연구,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연구,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등을 수행해 왔다.
현재는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이 글은 배주경, 박소영, 이미경, 권점례, 이지수, 이소연(2023)의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Ⅰ): 초등학교를 중심으로’(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23-6)의 일부 내용을 요약 및 재구성하여 작성한 것임을 밝힌다.

들어가는 말

2022 개정 교육과정이 2022년 12월 22일에 고시됨에 따라, 새로운 교육과정이 개정 방향과 취지에 맞게 교육 현장에 적용되기 위한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현장의 교사가 여러 교과에 대해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파악하여 적용 방안을 고민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국어, 사회, 수학, 과학, 미술,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시 예상되는 쟁점을 분석하여 교과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현장의 이해를 제고하고 개정 교육과정이 현장에 안착하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2022 개정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적용의 쟁점 도출

2022 개정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을 적용할 때의 쟁점을 도출하는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 문서,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 보고서, 보도자료, 관련 연구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과별 워킹그룹과의 논의를 거쳐 2022 개정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를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에 따라 초등학교 현장에서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을 적용할 때 예상되는 어려움과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면담 조사를 실시하여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을 초등학교에 적용할 때 예상되는 어려움과 필요한 지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고, 교과 교육과정의 적용과 관련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설문 조사의 경우 17개 시도교육청 및 학교 소재지를 고려하여 전국 초등학교 중 400개교를 표집하고, 표집된 학교에서 교사 6명씩(교과별 1명씩)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사 1,798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 결과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자 초등학교 교사 24명(교과별 4명씩)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2022 개정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분석, 설문 조사 및 면담 조사 결과 분석, 워킹그룹 논의를 종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을 초등학교에 적용할 때 가장 시급하게 적용 방안을 마련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는 주요 쟁점을 도출하였다.

2022 개정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 적용의 주요 쟁점별 적용 방안 및 예시 개발

도출된 주요 쟁점에 대해 초등학교 교과 수업에서의 적용 방안과 예시를 개발하였다. 적용 방안과 예시는 교과 특성을 반영하여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교과 전문가 및 초등학교 교사로 구성된 워킹그룹과의 긴밀한 논의를 통해 현장 적용의 타당성과 적용 방안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주요 쟁점에 대한 적용 방안과 예시1)의 일부를 예로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어과에서는 ‘국어과 하위 영역으로서의 ‘매체’ 영역의 정체성 정립’을 주요 쟁점 중 하나로 도출하였다. ‘매체’ 영역은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신설되어 교육 내용, 범위, 수준을 파악하고 수업을 설계하는 데 어려움이 예상되며, 초등학교 교사의 지원요구도 높게 나타나 주요 쟁점으로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적용 방안으로 ‘① 매체 영역의 내용 요소를 언어 수행 활동으로 구체화하고 영역 통합적 수업으로 설계한다.’, ‘② 매체 환경과 학습자의 수준 및 특성을 파악하여 교사 교육과정으로서 매체 활용 의사소통 교육을 계획한다.’를 제안하였고, 각 방안에 대한 예시를 개발하였다. 예를 들어 적용 방안 ①의 경우, 매체 영역의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매체 영역의 역할을 이해하고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언어 수행 활동으로 구체화한 예시를 제시하였는데, 이를 살펴보면 <표 1>과 같다.

1) 교과별 주요 쟁점에 대한 적용 방안과 예시의 상세한 내용은 배주경 외(2023)의 보고서를 참조 바란다.

<표 1> 매체 영역 과정·기능 범주의 내용 요소를 언어 수행 활동으로 구체화한 예시

미술과에서는 ‘미술과 디지털 소양 함양을 위한 미술 수업 설계 및 평가’를 주요 쟁점 중 하나로 도출하였다.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격에서는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소양 함양을 강조하였다. 또한 내용 체계, 성취기준,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교수·학습 및 평가 등에서 디지털 매체 활용과 관련된 내용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 현장에서 예상되는 어려움 및 지원 사항을 확인하였다. 이를 다각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적용 방안으로 ‘①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미술과 디지털 소양의 의미와 목적을 이해한다.’, ‘② 디지털 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미술 수업 환경을 확인한다.’, ‘③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미술 수업을 설계한다.’, ‘④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미술과 평가를 계획하고 실행한다.’를 제안하고, 각 방안에 대한 예시를 개발하였다.
예를 들어 적용 방안 ①의 경우, 미술 교과에서의 디지털 소양에 대해 교사들의 이해를 돕는 자료를 제안하였는데, 이를 살펴보면 [그림 1]과 같다.

[그림 1] 미술 교과에서의 디지털 소양에 대한 이해 자료 예시

과학과에서는 ‘신설 영역인 ‘과학과 사회’ 영역의 수업 및 평가 설계’를 주요 쟁점 중 하나로 도출하였다.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전통적인 4개 내용 영역인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 영역 외에 ‘과학과 사회’ 영역을 추가하였다. 이 영역은 그 취지나 교수·학습의 방향이 다른 네 개 영역과는 다소 차이가 있어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처음 적용할 때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초등학교 교사의 지원 요구도 높게 나타나 주요 쟁점으로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적용 방안으로 ‘① 여러 영역이나 교과의 연계와 통합을 바탕으로 실제 문제를 다룬다.’, ‘② 실제 문제를 다루기에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마련한다.’, ‘③ 협력적 문제 해결 학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④ 과학과 사회 영역의 취지에 부합하는 다양한 평가 방법과 평가 문항을 활용한다.’를 제안하고, 각 방안에 대한 예시를 개발하였다. 예를 들어 적용 방안 ①의 경우, 두 개의 수업 설계 예시를 제안하였는데, 그중에서 영역 간 연계와 통합 수업의 설계 예시를 살펴보면 [그림 2]와 같다.

[그림 2] ‘과학과 사회’ 영역에서 영역 간 연계와 통합 수업 사례 예시

영어과에서는 ‘전략 활용 관련 성취기준에 대한 수업 및 평가 설계’를 주요 쟁점 중 하나로 도출하였다.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의사소통의 과정과 자기주도적으로 영어 학습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한 성취기준도 이해 영역과 표현 영역 모두에 신설되어, 이를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예상되며, 초등학교 교사의 지원 요구도 높게 나타나 주요 쟁점으로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적용 방안으로 ‘①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전략의 의미와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전략을 이해한다.’, ‘②영어 의사소통 상황 및 학습에서 효과적으로 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수업 및 평가를 설계한다.’를 제안하고, 각 방안에 대한 예시를 개발하였다. 예를 들어 적용 방안 ②의 경우, 수업 예시, 학생의 자기 평가 예시, 교사의 관찰평가 예시를 제안하였는데, 그중에서 교사의 관찰평가 예시를 살펴보면 <표 2>와 같다.

<표 2> 영어과: 전략 활용 성취기준에 대한 평가 활동(관찰 평가) 예시

맺음말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에 따라 초등학교 현장에서 새로운 교육과정을 적용할 때의 쟁점을 도출하고, 각 쟁점에 대한 적용 방안과 예시를 개발하였다. 이외에도 2022 개정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현장 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세 가지 측면에서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먼저 교사의 교과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 제고 측면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실행 역량 강화, 교육과정 적용 시기와 교사 특성을 고려한 연수 제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교과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온오프라인 교육과정 개선 측면에서, 학생의 디지털 소양 함양을 위한 AI·디지털 기반 학습 체제 구축,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구현을 위한 학습 공간 개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교과 교육과정 실행 지원 측면에서,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교과 역량 및 성취기준의 변화에 따른 수업 및 평가 사례와 자료 개발·보급, 교과별 쟁점에 대응하는 자료 개발 및 자료 공유 시스템의 편의성 제고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