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두루’ 행복한 매점
학생 중심의 복지 실현

사회적협동조합 매점을 운영하는 안산강서고등학교

글. 정혜영 | 사진. 김지원

교내 매점은 학생들에게 먹거리를 제공하는 곳이자 소통이 이어지는 아지트와 같은 장소다.
학교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이 가득한 매점에는 항상 웃음꽃이 핀다. 경기도 안산시의 안산강서고등학교는 소비자가 주인인 사회적협동조합 형태의 매점인 ‘두루두루’ 운영을 시작했다. 직접 매점을 운영하며 학생에게 좀 더 좋은 제품, 좀 더 깨끗한 장소를 제공하며 학생 중심의 학생복지 실현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취재영상 보러 가기

학생 주도성을 키우는 교육 실현

‘딩동댕’ 멜로디의 벨이 울리고 쉬는 시간이 되면 안산강서고등학교 매점인 ‘두루두루’에 학생들이 모여 길게 줄을 선다.
“수현아, 안녕!” 매점을 운영하던 김은미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이 아이들을 반갑게 맞는다. 학부모이자 이사장인 김은미 씨와 학부모이자 이사인 전미은 씨가 오늘 매점 운영 담당이다.
지난 3월, 안산강서고등학교 사회적협동조합 매점 ‘두루두루’가 문을 열었다. 2019년 코로나19 사태로 매점 운영이 잠정 중단되다가 2022년 사회적협동조합 형태로 학생, 교사, 학부모가 함께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다시 탄생됐다. 매점 이름도 학생 공모를 통해 선정된 것으로서 ‘두루두루 함께하고, 협력하자’는 뜻으로 ‘두루두루’라고 만들어졌다.
현재까지 학생, 학부모, 교사, 지역주민 등 217여 명이 조합원으로 등재 돼 있으며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다. 매점은 학생이 오전 7시 30분부터 8시 30분까지, 학부모 봉사단이 오전 8시부터 11시까지, 11시부터 15시까지 나눠 운영에 참여한다. 매점 운영에 참여한 학생은 봉사 시간 10시간이 인정되는 이점도 있다.
학생 이사인 강민 학생은 “고등학교 2학년부터 매점 운영을 위해 준비해왔고 드디어 오픈 되서 너무 기쁘다.”며 “학업에 있어 중요한 고등학교 3학년이지만 후배들과 학생들을 위해 봉사할 수 있어 즐겁다.”고 전했다.
김은미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은 “매점 운영을 위해 바리스타 교육과 음료 만드는 법을 전문가에게 전수 받을 수 있어 저에게는 새로운 일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아이들에게는 좋은 음식을 제공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고 말했으며, 전미은 이사도 “아이들에게 신선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어 보람되고 재미있다.”고 전했다.
이수현, 강민, 탁혜빈, 강건희 학생은 사회적협동조합 학생 이사로서 매점이 운영되기까지 중심에서 활동했다. 학생 이사 모두는 “우리는 학교 구성원 모두를 만족시키기 위해 어떤 매점을 경영할 것인가, 매점 사업을 통해 얻은 수익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이들과 함께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스스로 답을 찾아갔다. 이 같은 학생들의 모습을 보며 사회적협동조합 매점 운영 담당자인 정은식 교사는 “학생들이 선한 의지를 갖고 사회적협동조합을 만드는데 자발적인 참여를 하며 힘을 보태는 학생들을 보면서, ‘살아있는 눈빛’을 볼 수 있었다.” 고 말했다.

수익자-운영자가 함께 운영하는 사회적협동조합

안산강서고등학교는 안산시 원도심에 위치해 있으며, 문구점이나 편의점이 근처에 없어 매점의 필요성은 더욱 부각됐다. 또한 대부분 학부모들이 맞벌이를 하고 있어 아침을 거르고 오는 학생도 많아 학교 매점에서 아침 대용으로 먹기를 희망했다.
정 교사는 “2021년 8월 경기도교육청 지정 학교협동조합 준비교로 지정되어 사회적협동조합 형태의 매점을 운영하게 됐다.”며 “사회적협동조합 학교 매점 운영을 통해 학생들에게는 올바른 먹거리를 제공하고, 사회적 협동조합에 대한 교육, 민주시민교육, 마을과 연계한 교육 등 종합적인 사회경제교육이 밑바탕이 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기존 매점과 사회적협동조합 형태의 매점의 가장 큰 차이는 수익을 누구의 의지로 내고, 어떻게 사용하는지가 다르다고 정 교사는 말한다.
“기존 운영 방식의 매점은 운영자와 소유자와 이용자가 분리되어 있어, 매점 경영(판매 물품의 선정, 물품의 생산지, 공급 단가)에 매점 이용의 소비자의 요구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사회적협동조합 매점은 이용자가 소유자이자 경영자가 되므로, 바른 먹거리에 관심을 갖고, 적정한 가격 책정, 수익금 전액을 교내 학생 복지 사업 및 학교공동체 문화 조성과 마을주민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4개 동아리 팀, 유기적 협동으로 운영

매점은 사회적협동조합을 운영하는 4개 동아리 학생들로 구성된 학생복지지원팀, 교육홍보팀, 마을교육연계팀, 자원봉사지원팀 모두가 유기적으로 협업해 운영되고 있다. 매점에서 판매되는 물품 선정은 매점운영위원회를 거쳐 결정된다.
학생복지지원팀은 건강한 생활을 위해 학교 매점에서 판매할 물품(메뉴) 및 판매 수익금으로 지출할 학생복지와 관련된 수요를 정기적으로 조사하고, 교육홍보팀은 매점에서 판매하는 물품(메뉴)을 바탕으로 한 친환경교육 및 건강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학교 매점 이용자가 환경친화적인 감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홍보와 교육을 한다. 마을교육연계팀은 매점 수익금으로 환원할 안산 다문화 어린이 수혜자 선정의 절차·방법·기준을 세우고, 자원봉사지원팀은 매점 운영에 필요한 자원봉사자(학생, 학부모, 교사)를 구성, 배치, 조직, 관리, 교육 등을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운영된 매점에서 발생된 수익은 학생 복지사업, 건강증진사업, 학교공동체문화조성사업, 마을봉사활동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유기농 텃밭, 건강 주스 등 학생 건강에 집중

매점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예방을 위해 철저한 방역을 기하고 있다. 매장 내 밀집도를 낮추기 위해 20분 이상 머물지 않도록 하고 테이블에 투명 칸막이를 설치해 방역을 생활화 하고 있다. 또한 매장의 밀집도를 낮추기 위해 컴퓨터 동아리 학생들과 졸업생이 모바일 매점 앱을 만들었다. 개발된 앱을 통해 구입하고 싶은 제품을 선택 후 온라인 결제하면 매장에서 바로 가져 갈 수 있어 짧은 시간에 이용이 가능하다. 모바일 앱은 ‘안산강서고등학교’ 앱을 다운 받아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사회적협동조합 학생 이사이자 학생회장인 강건희 학생은 “학생들에게 매점은 소통의 장소가 되고 앞으로 더욱 좋아질 것 같다.”며 “매점 활성화를 위해서 매달 22일을 ‘쌍쌍데이’ 라고 지정해 다양한 이벤트를 제공하고 문화를 누릴 수 있는 장소로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앞으로 매점에서 얻은 수익금은 학교 옆 텃밭을 조성하는데 사용되고, 그곳에서 생산된 농산물은 다시 건강 주스로 판매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바른 먹거리 교육 및 좋은 음식 먹기 캠페인 활동 등 학생 건강증진 사업에 지출할 계획이다.

MINI INTERVIEW
안산강서고등학교 조진태 교장

안산강서고등학교의 운영방안은.
안산강서고등학교는 ‘창조적인 탐구자, 봉사하는 자유인’을 교훈으로 하고, ‘미래를 주도할 창조적이며 봉사하는 강서인 육성’을 학교 교육의 목표로 하여 안산에서는 ‘학생 중심의 학교’로 불리는 지역 명문 사학입니다. ‘열린 학교 경영’으로 학생(재학생, 졸업생), 학부모, 교직원,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열린 학교입니다.

안산강서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안산강서고등학교는 ‘학생 중심의 학교’입니다. 우리 학교는 ‘전국 최초로 화상 수업을 통한 해외 자매 학교와의 국제 교류 수업’(2009), ‘전국 최초의 말하는 공부방 운영’(2011), ‘비즈쿨 운영학교 우수교’(2017), ‘경제•금융교육 최우수교’(2020) 등 학생이 배움의 중심에 서도록 하는 교육 활동에 도전과 노력을 경주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