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PISA
2022창의적 사고력 평가 결과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PISA
2022창의적 사고력 평가 결과
• 글·김현우 KICE 부연구위원
김현우
KICE 부연구위원
응용언어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학업성취도연구본부 소속 국제학업성취도평가실에서 근무하고 있다.
이 글은 ‘[교육부 06-18(화) 17시 보도자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평가 결과발표’의 일부 내용을 요약 및 재구성하여 작성한 것임을 밝힌다.
들어가는 말
OECD가 주관하는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이하 PISA)는 2012년부터 만 15세 학생(중3·고1)들의1) 삶에 대한 준비도를 보다 포괄적으로 전망하기 위해 혁신적 영역을 선정하여 평가하고 있으며, PISA 2022의 혁신적 영역은 창의적 사고력(creative thinking)이었다. 2022년 전 세계적으로 시행된 창의적 사고력 평가에 64개국(OECD 회원국 28개국, 비회원국 36개국)이 참여하였고, 우리나라는 186개교(중학교 14개교, 고등학교 168개교, 각종학교 4개교)에서 만 15세 학생 6,931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글에서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평가틀과 예시 문항을 살펴본 뒤 창의적 사고력 평가 국내 및 국제 결과와 함께 창의적 사고력 교육맥락변인 분석 결과를 알아보겠다.
1) PISA는 의무교육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교육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부분의 OECD 회원국에서 의무교육이 종료되는 시점인 만 15세 학생을 평가 대상으로 함.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정의 및 평가틀
창의적 사고력이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창의적 사고력을 떠올릴 때 기술적 혁신이나 걸출한 예술 작품을 만들어 내는 천재적인 발명가나 혹은 예술가들이 발휘하는 창의성을 생각하기 쉬우나 PISA에서 측정하고자 한 창의적 사고력은 학습과 교육을 통해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보여줄 수 있는 학생들의 역량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창의적 사고력 평가틀을 [표 1]과 같이 개발하였다.
[표 1] 창의적 사고력 평가틀 및 문항수
창의적 사고력 평가는 총 32개 문항2) (1점 4개 문항, 2점 28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는 0~60점이다. [표 1]에서 나타나 있듯이 창의적 사고력 평가의 각 문항은 아이디어 형성과정과 영역 두 가지 차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이디어 형성과정은 3개의 하위 범주로 구성된다. ‘다양한 아이디어 만들기(generate diverse ideas)’에 해당하는 문항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성하여 유연하게 사고하는 능력을 측정하고, ‘독창적 아이디어 만들기(generate creative ideas)’ 에 해당하는 문항은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또래 학생보다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능력을 측정한다. ‘아이디어 평가하고 개선하기(evaluate and improve ideas)’에 해당하는 문항은 기존 아이디어의 제한점을 평가 및 개선하여 독창성을 향상시키는 능력을 측정한다.
영역은 네 개의 하위 범주로 구성되며 각 영역으로 분류되는 문항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문어 표현(written expression)’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은 글을 통해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전달하는 것과 관련된다. ‘시각 표현(visual expression)’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전달하는 것과 관련된다. ‘사회적 문제 해결(social problem solving)’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은 문제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타인의 필요를 고려하여 이해 당사자를 위한 혁신적이며 실용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과 관련된다. ‘과학적 문제 해결(scientific problem solving)’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을 설계하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거나 발명품을 개발하는 것과 관련된다.
[그림 1]은 창의적 사고력 평가틀에서 ‘다양한 아이디어 만들기’와 ‘문어 표현’에 해당하는 ‘삽화 제목(illustration titles)’ 예시 문항이다. 문항에서는 주어진 삽화에 대해서 서로 다른 3개의 제목을 글로 써서 표현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학생들이 ‘삽화 제목’ 문항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문항의 조건에 부합하며 삽화와 관련 있지만 서로 다른 제목을 주어진 빈칸에 글로 써서 표현해야 한다. 만약 학생이 ‘큰 책, 거대한 책, 들판의 큰 책’이라는 답안을 작성하였다면, 이 학생의 답안은 주어진 삽화에 적절하지만, 의미 측면에서 거의 유사하기에 채점자는 영점을 답안에 부여할 것이다.
[그림 1] 창의적 사고력 예시 문항: 삽화 제목
2) 평가에서 학생들은 32개 문항 중 할당된 일부 문항을 풀게 됨.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국내 및 국제 결과 비교
[표 2]는 전체 참여국 중 상위 5개국의 창의적 사고력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우리나라는 창의적 사고력에서 60점 만점에 평균 38점을 획득하였으며, 창의적 사고력 평가에 참여한 OECD 회원국 28개국에서는 1~3위, 전체 참여 64개국 중에서는 2~4위를 기록하였다.
[표 2] 상위 5개국 창의적 사고력 결과
창의적 사고력에서 학생들의 성취 수준은 6개(6, 5, 4, 3, 2, 1)로 구분되며, 3수준이 기초수준(baseline level)에 해당된다. 이는 성취 수준 3수준 이상의 학생들이 익숙한 상황에서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거나 주어진 문제에 독창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표 2]에서 나타나 있듯이 우리나라 학생의 약 90 %가 기초수준인 3수준 이상을 달성하였고, 상위 성취 수준(5수준 이상) 비율도 약 46 %에 달했다. 성별 평균 점수의 경우 우리나라 여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사고력 점수 상위 5개국에서도 동일한 경향이 나타났다.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하위 범주별 결과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평가는 3개의 아이디어 형성과정과 4개의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하위 범주별 문항 평균 정답률은 [표 3]과 같다. 우리나라는 아이디어 형성과정에서 ‘다양한 아이디어 만들기’의 정답률이 다른 영역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역별 정답률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문어 표현’ 정답률이 가장 높았으며, ‘시각 표현’ 정답률이 가장 낮았다.
[표 3] 상위 5개국 창의적 사고력 하위 범주별 평균 정답률
3) PISA의 창의적 사고력 평가 평균 점수는 추정치로서 오차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국가가 위치할 수 있는 최고 등수와 최하 등수를 국가별 평균 점수와 함께 제공함.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의 교육맥락변인
창의적 사고력 설문 문항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자아효능감 지수, 창의적 학교 활동 참여 지수, 그리고 창의적 학교 환경 지수를 산출하였으며, [표 4]는 창의적 사고력 관련 교육맥락변인 응답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4] 창의적 사고력 관련 교육맥락변인 응답 결과
창의적 사고력 자아효능감 지수는 학생이 창의적 사고력을 발취하는 과제를 수행하는 데 느끼는 자신감의 정도를 의미하며, 우리나라는 –0.13으로 OECD 평균인 0.00보다 낮게 나타났다. 창의적 학교 활동 참여 지수는 학생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창의적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우리나라는 0.35로 OECD 평균인 0.00보다 높게 나타났다. 창의적 학교 환경 지수는 학생이 학교 및 수업 환경이 창의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환경이라고 인식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우리나라는 0.16으로 OECD 평균인 0.00보다 높았다.
창의적 학교 활동 참여 지수와 창의적 학교 환경 지수가 OECD 평균보다 높았다는 점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해 학교 현장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창의적 사고력 자아효능감은 OECD 평균보다 낮으므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이 창의적 과제를 수행하는 데 더욱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학교 현장에서 수업 혁신·창의적 체험활동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맺음말
PISA 2022 혁신적 영역은 학습과 교육을 통해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발휘되는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을 평가하였다. 우리나라는 창의적 사고력에서 OECD 국가 중에서는 1~3위, 전체 참여 64개국 중에서는 2~4위를 차지하였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창의적 사고력의 두 차원 중 ‘아이디어 형성과정’에서는 ‘다양한 아이디어 만들기’ 하위 범주에서, ‘영역’에서는 ‘문어 표현’ 하위 범주에서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교육맥락변인 중 창의적 학교 활동 참여와 창의적 학교 환경 지수는 우리나라가 OECD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창의적 사고력 자아효능감 변인의 평균은 OECD 평균보다 낮으므로 창의적 사고에 대한 학생들의 자신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체험활동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