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온라인 지원 시스템에 대한
기대와 요구1)

● 글. 노은희 KICE 선임연구위원

박은아 선임연구위원
KICE 교육과정·교과서본부

국어교육을 전공했으며, 그동안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수행평가 정책 실행 모니터링 연구, 학생평가 내실화 방안 연구, 국어과 교육과정 연구, 수능 출제 체제 및 발전 방안 연구 등을 수행해 왔다. 현재는 교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 이수 기준 설정 방안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1) 이 글은 노은희 외(2020)의 일부 내용을 요약·재구성하여 작성한 것임을 밝혀 둔다.

들어가는 말

이제 교육 분야에서 디지털 체제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다. 디지털 교육 체제는 디지털 기반의 교육 환경 구축을 넘어서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요구한다. ‘교육과정 온라인 지원 시스템’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정보를 제공하고 이와 관련한 실행을 지원하는 온라인 기반의 시스템으로, 국가 브랜드로서 자국의 교육과정을 대내・외 홍보하고 확산하는 데 기여한다. 우리의 경우 국가 수준에서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에듀넷 티클리어’, ‘학생평가지원포털’, ‘고교학점제 사이트’ 등이 교육 관련 사이트로서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향후 전면적인 디지털 교육 체제로 전환하고자 할 때 교사 및 교육 전문가들은 이러한 시스템에 대해 기능 개선과 함께 적극적이고 다양한 미래지향적 역할을 주문한다. 이에 다른 나라의 선도적인 사례를 통해 시스템의 발전 방안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사용 주체별 요구에 맞는 정보 접근

향후 교육과정 온라인 지원 시스템은 이용 범위의 확장과 다변화를 위해 수요자의 범위를 교사만이 아닌 학생, 학부모, 연구자, 일반국민 등까지 확장할 필요가 있으며, 각 수요자별로 적절한 내용 구성과 안내 기능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이에 우선적으로 메인 페이지의 경우 교사, 학생, 학부모별 선택 탭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과정 정책 변화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반드시 필요하고, 최근에는 학생 맞춤형 교육을 표방함에 따라 학생과 학부모가 교육과정 설계에 함께 참여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으므로 이들이 이해하기 쉬운 자료를 국가 교육과정 포털에서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예컨대, 이스라엘의 경우 사용자별로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하게 하고 있다. 이스라엘 교육부 사이트(https://edu.gov.il)는 교사 포털, 학생 포털, 학부모 포털 등과 같이 사용자별 포털 사이트에 대한 통합 사이트로서 일종의 대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사용자별로 필요한 교육과정의 세부 정보는 해당 메뉴나 포털에서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림 1] 이스라엘 교육부 사이트의 교사, 학생, 학부모 포털 화면

나아가 교육과정 온라인 지원 시스템에서는 교사, 학생, 학부모 등에게 교육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용어에 대한 해설, 총론의 지침을 구현하는 방식의 연습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기능도 강구해 볼 수 있다. 덴마크 UG(www.ug.dk) 사이트에서는 고등학교 교육에서 학생이 선택해야 하는 학교, 교육과정, 교과목을 안내하고, 특히 학생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과목 선택을 시뮬레이션해 보도록 다층적이고 다차원적인 선택 연습 공간을 제공한다. 이 중 ‘The access card’는 고등학교 입학 전 중학생들을 위한 것으로 장차 과정이 분명하게 구분되고 선택과목이 많아지는 고등학교 교육을 이해하고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림 2] 덴마크 UG의 ‘The access card’ 순서에 따라 시뮬레이션해 본 결과 화면

이와 같은 사용자별 구성 방식은 사용자들의 접근성 및 편이성을 높이고 정보 제공에 효율적일 뿐 아니라, 사용자별 정보 공유나 참여 기반의 플랫폼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교육관계자들은 교육과정 온라인 지원 시스템이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정보 제공을 넘어 정보 공유 공간이 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앞으로의 교육과정은 완성형이 아닌 개방 및 보완되어 가는 방식임에 주목하여 교사, 학생, 학부모 등에게 참여할 공간을 만들어 주고, 개발 중인 교육과정을 교육공동체 구성원들과 공유하고 소통하려는 노력을 시스템상에 구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사이트에서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공유하면서 교사, 학생, 학부모, 지역공동체 구성원 등의 참여 기회 만들기, 개발된 교육과정의 의도와 특성에 대하여 동영상 등으로 설명하면서 이해를 높이기,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통로 만들기, 교육과정 실천의 문제와 해결 방안에 대해 소통하는 창구 만들기 등으로 교육과정 지원 시스템이 상호작용적 관점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강구할 필요가 있다.

원활한 정보 검색 및 재구성 기능

교육과정 온라인 지원 시스템은 무엇보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아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어야 한다. 우리의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등 교육과정 온라인 지원 시스템은 매일매일 업무에 활용되는 시스템이 아니라 필요할 때 정보를 찾아보는 시스템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스템의 목적에 따라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찾아 그 정보만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검색 기능을 강화해 주는 것이 급선무라 볼 수 있다.
참고할 사례로, 캐나다 BC주 교육과정 사이트(https://curriculum.gov.bc.ca)에서는 교육과정 검색(Search Curriculum) 기능을 담은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그림 3]에서 볼 수 있듯이 유형(type), 교과(subject), 학년(grades)으로 구성된 필터링 기능을 적용하여 교사가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 정보들을 선별적으로 찾아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핵심어(key word)를 입력하여 관련 항목을 검색하도록 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유형의 경우 BC주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인 ‘빅 아이디어(big ideas), 내용(content), 역량(curricular competency)’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요한 유형을 중복 선택할 수 있다. 교과와 학년 역시 중복 선택 가능하다.

[그림 3] 캐나다 BC주 교육과정 사이트의 교육과정 검색창

좀 더 적극적인 사례로, 아일랜드 NCCA 교육과정 사이트(https://ncca.ie/en)에서는 첫 화면의 중앙에 최근 개정한 중학교 교육과정의 새 교과와 단기과정이 제시되어 있는데, ‘교육과정을 다양한 방법으로 보기(view)’, ‘학생의 수행(student work) 사례를 보기’, ‘나의 교육과정 자료(a private curriculum library)를 위한 클립보드 기능 사용하기’, ‘평가를 지원하는 여러 양식 중에서 선택하기’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교육과정을 공지하고 있다. 초기화면 하단에는 ‘클립보드 기능’이 있는데, 검색한 내용을 저장하고, PDF를 생성하는 등 클립보드 기능을 통해 내가 읽고 활용하는 정보를 클립보드에 저장했다가 이를 불러올 수 있도록 하여 단순히 정보를 수동적으로 보는 사이트가 아니라 능동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만의 사이트로 만들어 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교사의 경우 무엇보다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교수・학습과 평가의 정보가 빠르고 쉽게 검색되기를 강력히 요구한다. 아일랜드 NCCA 교육과정 사이트에서는 학교급별로 들어가면 각 과목이 약자로 아이콘화하여 정렬되어 있고 과목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과목 교육과정 해설, 교수・학습 예시, 평가 지침, 평가 과제 등을 찾기 쉽게 제시하였다. [그림 4]는 중학교급 과목을 정렬한 화면에서 영어 과목 아이콘을 클릭하였을 경우 영어 과목 관련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 관련 자료가 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4] 아일랜드 NCCA 교육과정 사이트

나가는 말

현재 교육 체제는 최첨단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길목에 있다. 교실 환경의 기술적 변화, 원격 수업의 혁신과 같은 하드웨어적 중심의 기술적 투자와 함께 국가가 교육 정책 및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측면이 무엇이고, 학교 및 교사가 이를 실천할 때 실제적으로 요구하는 지원 사항이 무엇인지를 짚어볼 필요가 있다. 디지털 교육 체제로의 전환에 대해 시설 투자에 집중하고 교육의 질 향상 대책은 모호하다는 비판에 귀 기울일 시점이다.

참고문헌

  • 노은희, 김진숙, 손민정, 윤영순, 김성혜, 양영자, 임유나, 최효선(2020).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온라인 지원 시스템 발전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C 2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