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교육의
문화 다양성 원칙

글. 안영길 동탄중앙초등학교 교장

태평양 남서부에 위치한 두 개의 큰 섬으로 이루어진 뉴질랜드는 문화적, 민족적, 언어적으로 다양성을 가진 나라이다. 2018년 뉴질랜드 인구조사 자료에 따르면, 뉴질랜드에는 현재 100명 이상이 사는 민족 그룹이 160개 이상이라고 한다. 또한 뉴질랜드 교육평가 기관인 Education Review Office(2018)에 따르면 학교에서 유럽계 학생 비율이 2009년 55.9%에서 2017년 50.3%로 감소했고, 마오리1)와 아시아 학생들의 비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뉴질랜드 학교에서는 위 통계 자료에 나타난 것처럼 여러 민족 공동체에 속하는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을 쉽게 만나볼 수 있다.
아직은 뉴질랜드 학교처럼 한국 학교가 문화적 다양성이 현저하지는 않지만 가파른 증가 추세에 있으며, 한국 사회도 다문화 사회 및 다원주의 사회로 접어들고 있고, 세계시민교육, 글로벌 교육에 관한 교육 내용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상황에서 뉴질랜드 교육과정에 녹아있는 문화 다양성 원칙의 예를 살펴보고 한국 교육에 접목 할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문화 다양성 원칙

뉴질랜드 교육과정은 국가적으로나 지역적으로 중요한 것에 대한 신념을 구현하고 학교의 의사 결정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는 8가지의 원칙2)이 있는데, 이 중 하나가 문화 다양성원칙(cultural diversity principle)이다. 문화 다양성 원칙은 학교와 교사가 교육과정에 언어 및 문화적으로 다양한 민족을 반영하여, 학생들의 서로 다른 문화적 정체성과 그들의 문화적 맥락을 교수 및 학습 프로그램에 통합하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인종 그룹 내의 다양성에 반응하고 학생들이 다양한 관점, 가치, 관습 및 언어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문화 다양성 원칙은 다른 교육과정 원칙과도 연관이 깊으며 특히, 통합 원칙, 공동체 참여 원칙 및 와이탕이조약 원칙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표 1> 뉴질랜드 학교 등록학생의 다양성 증가
(Education Review Office, 2018)

1) 마오리(Maori)는 유럽인들이 뉴질랜드에 정착하기 전부터 살아왔던 뉴질랜드 원주민이다.
2) ① High expectations principle(높은 기대 원칙) ② Treaty of Waitangi principle(와이탕이 조약 원칙) ③ Cultural diversity principle(문화 다양성 원칙) ④ Inclusion
principle(통합 원칙) ⑤ Learning to learn principle(학습의 학습 원칙) ⑥ Community engagement principle(공동체 참여 원칙) ⑦ Coherence principle(일관성 원칙) ⑧
Future focus principle(미래 초점 원칙)

[사진 1] 출석을 확인하며 여러 나라말로 교사와 인사하는 1학년 교실

적용 사례

1. 역사 교육
현재 뉴질랜드는 개별 학교가 역사 교육에 대한 수업 여부와 범위를 결정하여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지만, 2022년부터는 역사를 교육과정에 반드시 포함하여 모든 수준의 의무 교육 과정에서 가르치도록 공표하였다. 뉴질랜드 역사 교육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파케하3)와 마오리 간에 체결한 와이탕이 조약4)이다. 역사적으로 마오리는 이 조약에서 보장한 혜택을 누리지 못했고 소수 집단으로 지속적인 불이익과 억압을 받아왔다. 뉴질랜드에서는 와이탕이 조약을 학생들에게 가르칠 때 역사적 사건의 배경이나 내용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현재 뉴질랜드의 문화 다양성 상황과 접목하여 적용시키고 있다.
학생들은 이 조약을 배우면서 마오리 버전과 영어 버전의 차이를 살펴보게 되고, 두 내용의 차이와 그 이유를 각각 마오리의 입장, 영국이나 프랑스 상인의 입장, 선교사의 입장 등으로 역할을 정해 그 해석이나 영향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된다. 또한 마오리가 역사적으로 경험했던 불이익, 불평등 상황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현재 뉴질랜드에 있는 다른 민족인 파시피카(Pasifika)5)나 아시안 등의 이민자들이 겪고 있는 경험이나 입장도 살펴보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 조약 제2조에 나오는 타옹아(Taonga:보물의 마오리어)와 보물(treasures)을 가지고 조약 체결 당시 마오리가 가지고 있던 타옹아뿐만 아니라 현재 자신이나 다른 친구들이 가지고 있는 타옹아도 찾아봄으로써 개별 학생의 자질, 가족 문화, 고유한 민족적, 문화적 특성을 인식하도록 독려한다. 역사 속 와이탕이 조약을 현재로 다시 불러와 민족, 언어, 종교를 뛰어 넘어 교육과정에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2. 언어 교육
뉴질랜드 공용어는 영어, 마오리어, 수화 이렇게 3개다. 이전에는 학교나 공식적인 발표 등에서 대부분 영어를 사용하였지만 점차적으로 마오리어의 사용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학교의 환영식, 졸업식, 학생 발표회 등에서 축사와 같은 공식적 발표를 먼저 화이코레로(Whaikōrero)6)로 시작하기도 하고, 마오리 노래인 카파하카(kapa haka)로 학부모나 새로운 학생을 환영하는 것은 매우 일반적이다. 교실에서도 학생들은 마오리 방식의 자기소개인 페페하(Pepeha)로 자신에 대해 발표하고, 교사는 인사나 일반적인 물건을 말할 때 마오리어를 사용하여 학생들도 자연스럽게 생활에서 익히도록 한다. 마오리어뿐만 아니라 교사는 다양한 나라의 인사말로 학생들과 개별적으로 아침 인사를 나누기도 하고, 이중/멀티 언어 사용을 격려하며, 읽기 시간에 다양한 문화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도 매우 많다.
다언어 사용 글쓰기의 예로, 중학교인 Palmerston North Intermediate Normal School에서는 시립 도서관과 함께 “First Voice Writing Workshop”이라는 글쓰기 행사를 정규 수업시간으로 하루 동안 할애하여 매년 한 차례 진행하고 학생들은 영어가 아닌 모국어 또는 자신의 민족 언어로 주제를 정해 글을 쓰고, 교사는 그 작품을 모아 책을 만든다. 보통 60명 이상의 학생이 참여하고 20개 이상의 언어로 글쓰기가 이루어진다. 이때, 지역의 해당 언어 사용자를 멘토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글쓰기를 돕도록 한다.
글쓰기가 끝나면 선배 학생들의 다양한 언어적, 문화적 경험에 대한 발표, 재학생 발표, 질문과 답변의 시간 등을 갖는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모국어 또는 자신의 민족 언어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지고 익히도록 동기부여를 받으며, 자부심을 품게 된다.

3. 물리적 환경 조성 및 문화 행사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를 가시적으로 나타낸다면 교육의 효과는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문화 다양성 원칙을 반영하여 물리적 환경을 구성한 학교가 있다. 오클랜드에 있는 초등학교인 Owairaka District School은 다양한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환경을 구성하려고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부모, 가족, 공동체가 학교 교육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특히 파시피카 중 사모아 문화를 소개하기 위해 사모아 섬에 있는 실제 모습 그대로의 팔레(fale)라는 사모아의 전통적인 만남의 집을 학교 안에 건축하고 그 주변에 사모아 식물로 정원을 재배하여 사모아의 요소를 학교 환경에 통합하였다.
이 팔레는 복잡한 구조와 그 속에 담긴 전통적인 이야기로 학습 주제가 되기도 하고 읽기, 수학, 음악을 배우는 학습 장소로 활용하기도 한다.
한편, 뉴질랜드 전역에서는 5월 말에 국제언어주간(International Languages Week)이라는 연례행사를 통해 전 세계의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소개하고 배우며, 학생들에게 다양성, 공동체 및 존중의 가치를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기간에 영어 이외의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학생을 언어 교사로 임명하여 학생들에게 여러 언어를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가족과 공동체 구성원을 학교로 초대하고, 국제 인사를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인사말 포스터를 만들어 다양한 언어 사용 장려를 통해 이민자를 환영하고 있다.


학교공간혁신을 동반하는
학교시설복합화는
미래 학습의 길잡이, 교육 변화,
사회변화의 마중물이 될 것이다.

3) 파케하(Pakeha)는 뉴질랜드의 백인 주민을 가리키는 마오리 용어이다.
4) 1840년 와이탕이 조약은 체결 당시 영어 버전인 The Treaty of Waitangi와 마오리 버전인 Te Tiriti o Waitangi가 함께 사인되었다. 두 내용은 해석상 서로 같은 내용의 번역본이 아니라 단어 선택을 보면 다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사모아, 통가, 쿡 제도 및 기타 작은 태평양 국가에서 뉴질랜드로 온 이주자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러한 태평양 국가의 대부분은 이전에 뉴질랜드의 지배를 받았다.
6) 일반적으로 환영식과 사교 모임에서 남성이 하는 공식 마오리 연설로 발표자가 마오리 언어에 대한 숙달을 보여줄 수 있으며, 유능한 화자는 이미지와 은유로 말을 꾸밀 수 있다.

시사점

첫째, 집단이 아닌 학생 개인의 가치를 바라보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 본다.
문화 다양성 원칙은 각 민족의 언어적, 문화적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 중요한 것처럼 보이나 사실은 그 출발점이 한 개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것이 아닐까?
건강한 사회에서는 개인의 가치가 그 개인이 속한 민족이 소수인지 다수인지, 사회의 주류인지 비주류인지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민족이나 인종 전체로 뭉뚱그리지 않고 개인 각각의 가치를 인정해주고 그것을 모든 학생들이 받아들이게 하는 교육이 꼭 필요해 보인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문화 다양성 교육은 학생 개인의 가치와 소중함, 다양성을 인식하고 표현하며, 서로에 대해 배우고 수용함으로써 개인의 문화적 요소를 존중하도록 가르치는 것이어야 하겠다.

둘째, 문화 다양성 관점을 포용한 포괄적이고 일관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생각해 본다.
뉴질랜드 교육과정에 의하면 교육과정은 모든 사람들의 문화 다양성과 역사와 전통의 가치를 반영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에 뉴질랜드 학교에서는 한 차시, 한 단원, 한 과목에서만 문화 다양성 교육을 하지 않고 교육과정 전반에 이 원칙이 녹아 있다. 행사도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어떤 사건 사고를 계기로 사회의 관심이 집중되었을 때 잠깐 각광받는 전개가 아니라 전체 교육과정에서 세밀하게 전개되어 교육에 일관성 있게 반영되어 있다.
또한 관련 교과 내용과 활동뿐만 아니라 교사의 일관된 격려와 존중의 태도, 사회 전반적인 포용성도 문화 다양성 교육의 성공적인 전개를 위한 필수 요소로 보인다.

셋째, 학생들이 직접 오감으로 경험하고 즐길 수 있는 문화 다양성 교육 환경을 기대해 본다.
뉴질랜드의 문화 다양성 행사나 환경은 학생들이 직접 보고, 참여하도록 장려한다. 머리로 익히는 단순한 지식이나 그렇구나 하는 상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온몸으로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경험 교육은 학생들의 삶에 더 오래 남아 작용할 것이다.
특히 한국 교육에서 문화 다양성은 이제 시작되는 새로운 교육 가치인 만큼 그 첫 단추를 어떻게 꿰나갈 것인지는 매우 중요해 보인다. 학생들에게 공부할게 하나 더 늘어나는 귀찮은 과정이나 지식으로서의 문화 다양성 교육이 아닌 삶과 가치관을 풍요롭게 하는 경험으로서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 환경이 마련되면 좋겠다.

맺음말

뉴질랜드의 문화 다양성과 한국의 문화 다양성은 그 출발과 사회구성이 너무 다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교육에 대한 접근성이 다르다고 치부해버릴 수도 있지만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에 대한 존중과 바른 가치를 심어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오클랜드 대학교의 Rae Siʹilata 교수는 “학교 경영자와 교사는 학교가 문화적으로 중립된 영역(neutral domains)이 아니며, 사람들은 문화적으로 위치하는 존재라는 것을 먼저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학교에서 각 학생들의 문화적 영역을 존중한다면 배움의 차이는 그 이전과 크게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지배적인 한국 문화 프레임워크 내에서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지원하고 포괄하는 것이 제한적이더라도 개개인의 다양성과 가치로 언어, 문화를 공정하게 포용하고 인정한다면, 학교는 모든 학생들이 고유 가치로서 문화 다양성을 배우고,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귀한 배움의 공간이 될 것이다.

참고자료

  • 뉴질랜드 교육과정 홈페이지 https://nzcurriculum.tki.org.nz/Principles/Cultural-diversity-principle

  • Education Review Office(2018) Ethnic diversity in New Zealand state schools, ERO Insights.

김지영 Winchester School 보조 교사

약 20년 동안 대전에서 초등교사로 학생을 가르쳤으며, 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다수 교육자료 발간에 참여하였다. 현재 뉴질랜드에 거주하며 파머스턴 노스 한글학교 교사 및 초등학교인 Winchester School 보조 교사로 일하고 있다. 아이들을 사랑하며 특수 교육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다.

뉴질랜드 교육의
문화 다양성 원칙

글. 안영길 동탄중앙초등학교 교장

태평양 남서부에 위치한 두 개의 큰 섬으로 이루어진 뉴질랜드는 문화적, 민족적, 언어적으로 다양성을 가진 나라이다. 2018년 뉴질랜드 인구조사 자료에 따르면, 뉴질랜드에는 현재 100명 이상이 사는 민족 그룹이 160개 이상이라고 한다. 또한 뉴질랜드 교육평가 기관인 Education Review Office(2018)에 따르면 학교에서 유럽계 학생 비율이 2009년 55.9%에서 2017년 50.3%로 감소했고, 마오리1)와 아시아 학생들의 비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뉴질랜드 학교에서는 위 통계 자료에 나타난 것처럼 여러 민족 공동체에 속하는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을 쉽게 만나볼 수 있다.
아직은 뉴질랜드 학교처럼 한국 학교가 문화적 다양성이 현저하지는 않지만 가파른 증가 추세에 있으며, 한국 사회도 다문화 사회 및 다원주의 사회로 접어들고 있고, 세계시민교육, 글로벌 교육에 관한 교육 내용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상황에서 뉴질랜드 교육과정에 녹아있는 문화 다양성 원칙의 예를 살펴보고 한국 교육에 접목 할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문화 다양성 원칙

뉴질랜드 교육과정은 국가적으로나 지역적으로 중요한 것에 대한 신념을 구현하고 학교의 의사 결정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는 8가지의 원칙2)이 있는데, 이 중 하나가 문화 다양성원칙(cultural diversity principle)이다. 문화 다양성 원칙은 학교와 교사가 교육과정에 언어 및 문화적으로 다양한 민족을 반영하여, 학생들의 서로 다른 문화적 정체성과 그들의 문화적 맥락을 교수 및 학습 프로그램에 통합하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인종 그룹 내의 다양성에 반응하고 학생들이 다양한 관점, 가치, 관습 및 언어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문화 다양성 원칙은 다른 교육과정 원칙과도 연관이 깊으며 특히, 통합 원칙, 공동체 참여 원칙 및 와이탕이조약 원칙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표 1> 뉴질랜드 학교 등록학생의 다양성 증가
(Education Review Office, 2018)

1) 마오리(Maori)는 유럽인들이 뉴질랜드에 정착하기 전부터 살아왔던 뉴질랜드 원주민이다.
2) ① High expectations principle(높은 기대 원칙) ② Treaty of Waitangi principle(와이탕이 조약 원칙) ③ Cultural diversity principle(문화 다양성 원칙) ④ Inclusion
principle(통합 원칙) ⑤ Learning to learn principle(학습의 학습 원칙) ⑥ Community engagement principle(공동체 참여 원칙) ⑦ Coherence principle(일관성 원칙) ⑧
Future focus principle(미래 초점 원칙)

[사진 1] 출석을 확인하며 여러 나라말로 교사와 인사하는 1학년 교실

적용 사례

1. 역사 교육
현재 뉴질랜드는 개별 학교가 역사 교육에 대한 수업 여부와 범위를 결정하여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지만, 2022년부터는 역사를 교육과정에 반드시 포함하여 모든 수준의 의무 교육 과정에서 가르치도록 공표하였다. 뉴질랜드 역사 교육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파케하3)와 마오리 간에 체결한 와이탕이 조약4)이다. 역사적으로 마오리는 이 조약에서 보장한 혜택을 누리지 못했고 소수 집단으로 지속적인 불이익과 억압을 받아왔다. 뉴질랜드에서는 와이탕이 조약을 학생들에게 가르칠 때 역사적 사건의 배경이나 내용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현재 뉴질랜드의 문화 다양성 상황과 접목하여 적용시키고 있다.
학생들은 이 조약을 배우면서 마오리 버전과 영어 버전의 차이를 살펴보게 되고, 두 내용의 차이와 그 이유를 각각 마오리의 입장, 영국이나 프랑스 상인의 입장, 선교사의 입장 등으로 역할을 정해 그 해석이나 영향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된다. 또한 마오리가 역사적으로 경험했던 불이익, 불평등 상황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현재 뉴질랜드에 있는 다른 민족인 파시피카(Pasifika)5)나 아시안 등의 이민자들이 겪고 있는 경험이나 입장도 살펴보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 조약 제2조에 나오는 타옹아(Taonga:보물의 마오리어)와 보물(treasures)을 가지고 조약 체결 당시 마오리가 가지고 있던 타옹아뿐만 아니라 현재 자신이나 다른 친구들이 가지고 있는 타옹아도 찾아봄으로써 개별 학생의 자질, 가족 문화, 고유한 민족적, 문화적 특성을 인식하도록 독려한다. 역사 속 와이탕이 조약을 현재로 다시 불러와 민족, 언어, 종교를 뛰어 넘어 교육과정에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2. 언어 교육
뉴질랜드 공용어는 영어, 마오리어, 수화 이렇게 3개다. 이전에는 학교나 공식적인 발표 등에서 대부분 영어를 사용하였지만 점차적으로 마오리어의 사용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학교의 환영식, 졸업식, 학생 발표회 등에서 축사와 같은 공식적 발표를 먼저 화이코레로(Whaikōrero)6)로 시작하기도 하고, 마오리 노래인 카파하카(kapa haka)로 학부모나 새로운 학생을 환영하는 것은 매우 일반적이다. 교실에서도 학생들은 마오리 방식의 자기소개인 페페하(Pepeha)로 자신에 대해 발표하고, 교사는 인사나 일반적인 물건을 말할 때 마오리어를 사용하여 학생들도 자연스럽게 생활에서 익히도록 한다. 마오리어뿐만 아니라 교사는 다양한 나라의 인사말로 학생들과 개별적으로 아침 인사를 나누기도 하고, 이중/멀티 언어 사용을 격려하며, 읽기 시간에 다양한 문화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도 매우 많다.
다언어 사용 글쓰기의 예로, 중학교인 Palmerston North Intermediate Normal School에서는 시립 도서관과 함께 “First Voice Writing Workshop”이라는 글쓰기 행사를 정규 수업시간으로 하루 동안 할애하여 매년 한 차례 진행하고 학생들은 영어가 아닌 모국어 또는 자신의 민족 언어로 주제를 정해 글을 쓰고, 교사는 그 작품을 모아 책을 만든다. 보통 60명 이상의 학생이 참여하고 20개 이상의 언어로 글쓰기가 이루어진다. 이때, 지역의 해당 언어 사용자를 멘토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글쓰기를 돕도록 한다.
글쓰기가 끝나면 선배 학생들의 다양한 언어적, 문화적 경험에 대한 발표, 재학생 발표, 질문과 답변의 시간 등을 갖는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모국어 또는 자신의 민족 언어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지고 익히도록 동기부여를 받으며, 자부심을 품게 된다.

3. 물리적 환경 조성 및 문화 행사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를 가시적으로 나타낸다면 교육의 효과는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문화 다양성 원칙을 반영하여 물리적 환경을 구성한 학교가 있다. 오클랜드에 있는 초등학교인 Owairaka District School은 다양한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환경을 구성하려고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부모, 가족, 공동체가 학교 교육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특히 파시피카 중 사모아 문화를 소개하기 위해 사모아 섬에 있는 실제 모습 그대로의 팔레(fale)라는 사모아의 전통적인 만남의 집을 학교 안에 건축하고 그 주변에 사모아 식물로 정원을 재배하여 사모아의 요소를 학교 환경에 통합하였다.
이 팔레는 복잡한 구조와 그 속에 담긴 전통적인 이야기로 학습 주제가 되기도 하고 읽기, 수학, 음악을 배우는 학습 장소로 활용하기도 한다.
한편, 뉴질랜드 전역에서는 5월 말에 국제언어주간(International Languages Week)이라는 연례행사를 통해 전 세계의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소개하고 배우며, 학생들에게 다양성, 공동체 및 존중의 가치를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기간에 영어 이외의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학생을 언어 교사로 임명하여 학생들에게 여러 언어를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가족과 공동체 구성원을 학교로 초대하고, 국제 인사를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인사말 포스터를 만들어 다양한 언어 사용 장려를 통해 이민자를 환영하고 있다.


학교공간혁신을 동반하는
학교시설복합화는
미래 학습의 길잡이, 교육 변화,
사회변화의 마중물이 될 것이다.

3) 파케하(Pakeha)는 뉴질랜드의 백인 주민을 가리키는 마오리 용어이다.
4) 1840년 와이탕이 조약은 체결 당시 영어 버전인 The Treaty of Waitangi와 마오리 버전인 Te Tiriti o Waitangi가 함께 사인되었다. 두 내용은 해석상 서로 같은 내용의 번역본이 아니라 단어 선택을 보면 다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사모아, 통가, 쿡 제도 및 기타 작은 태평양 국가에서 뉴질랜드로 온 이주자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러한 태평양 국가의 대부분은 이전에 뉴질랜드의 지배를 받았다.
6) 일반적으로 환영식과 사교 모임에서 남성이 하는 공식 마오리 연설로 발표자가 마오리 언어에 대한 숙달을 보여줄 수 있으며, 유능한 화자는 이미지와 은유로 말을 꾸밀 수 있다.

시사점

첫째, 집단이 아닌 학생 개인의 가치를 바라보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 본다.
문화 다양성 원칙은 각 민족의 언어적, 문화적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 중요한 것처럼 보이나 사실은 그 출발점이 한 개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것이 아닐까?
건강한 사회에서는 개인의 가치가 그 개인이 속한 민족이 소수인지 다수인지, 사회의 주류인지 비주류인지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민족이나 인종 전체로 뭉뚱그리지 않고 개인 각각의 가치를 인정해주고 그것을 모든 학생들이 받아들이게 하는 교육이 꼭 필요해 보인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문화 다양성 교육은 학생 개인의 가치와 소중함, 다양성을 인식하고 표현하며, 서로에 대해 배우고 수용함으로써 개인의 문화적 요소를 존중하도록 가르치는 것이어야 하겠다.

둘째, 문화 다양성 관점을 포용한 포괄적이고 일관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생각해 본다.
뉴질랜드 교육과정에 의하면 교육과정은 모든 사람들의 문화 다양성과 역사와 전통의 가치를 반영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에 뉴질랜드 학교에서는 한 차시, 한 단원, 한 과목에서만 문화 다양성 교육을 하지 않고 교육과정 전반에 이 원칙이 녹아 있다. 행사도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어떤 사건 사고를 계기로 사회의 관심이 집중되었을 때 잠깐 각광받는 전개가 아니라 전체 교육과정에서 세밀하게 전개되어 교육에 일관성 있게 반영되어 있다.
또한 관련 교과 내용과 활동뿐만 아니라 교사의 일관된 격려와 존중의 태도, 사회 전반적인 포용성도 문화 다양성 교육의 성공적인 전개를 위한 필수 요소로 보인다.

셋째, 학생들이 직접 오감으로 경험하고 즐길 수 있는 문화 다양성 교육 환경을 기대해 본다.
뉴질랜드의 문화 다양성 행사나 환경은 학생들이 직접 보고, 참여하도록 장려한다. 머리로 익히는 단순한 지식이나 그렇구나 하는 상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온몸으로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경험 교육은 학생들의 삶에 더 오래 남아 작용할 것이다.
특히 한국 교육에서 문화 다양성은 이제 시작되는 새로운 교육 가치인 만큼 그 첫 단추를 어떻게 꿰나갈 것인지는 매우 중요해 보인다. 학생들에게 공부할게 하나 더 늘어나는 귀찮은 과정이나 지식으로서의 문화 다양성 교육이 아닌 삶과 가치관을 풍요롭게 하는 경험으로서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 환경이 마련되면 좋겠다.

맺음말

뉴질랜드의 문화 다양성과 한국의 문화 다양성은 그 출발과 사회구성이 너무 다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교육에 대한 접근성이 다르다고 치부해버릴 수도 있지만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에 대한 존중과 바른 가치를 심어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오클랜드 대학교의 Rae Siʹilata 교수는 “학교 경영자와 교사는 학교가 문화적으로 중립된 영역(neutral domains)이 아니며, 사람들은 문화적으로 위치하는 존재라는 것을 먼저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학교에서 각 학생들의 문화적 영역을 존중한다면 배움의 차이는 그 이전과 크게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지배적인 한국 문화 프레임워크 내에서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지원하고 포괄하는 것이 제한적이더라도 개개인의 다양성과 가치로 언어, 문화를 공정하게 포용하고 인정한다면, 학교는 모든 학생들이 고유 가치로서 문화 다양성을 배우고,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귀한 배움의 공간이 될 것이다.

참고자료

  • 뉴질랜드 교육과정 홈페이지 https://nzcurriculum.tki.org.nz/Principles/Cultural-diversity-principle

  • Education Review Office(2018) Ethnic diversity in New Zealand state schools, ERO Insights.

김지영 Winchester School 보조 교사

약 20년 동안 대전에서 초등교사로 학생을 가르쳤으며, 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다수 교육자료 발간에 참여하였다. 현재 뉴질랜드에 거주하며 파머스턴 노스 한글학교 교사 및 초등학교인 Winchester School 보조 교사로 일하고 있다. 아이들을 사랑하며 특수 교육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