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자료 이해 활용 능력 제고 방안 1)

● 글·김혜숙 KICE 연구위원

김혜숙 연구위원
KICE 교육과정·교과서본부

지리교육을 전공했고 교육과정 및 교과서 관련 연구를 수행해왔다. 최근에는 2022 개정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와 국가교육과정 모니터링단 구성 및 운영 방안 연구를 수행했다. 현재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에서의 교과교육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1) 이 글은 김혜숙 외(2021) 연구 내용을 요약 및 재구성하여 작성한 것임.

들어가는 말

오늘날의 정보는 텍스트에 한정되지 않고 수많은 시각 자료의 형태로 생산, 소비,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다양한 시각 자료를 접하게 되는 학생들에게 어떻게 하면 시각자료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지에 대한 해답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국제적으로도 시각 자료 관련 이해·활용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OECD(2019)에서는 PISA 2021 창의적 사고력 평가의 주 영역을 ‘창의적 표현’과 ‘문제 해결’로 구분하고 문어 표현(written language expression)과 함께 시각 표현(visual expression)도 평가의 중요한 부분으로 선정하였다. 이처럼 현대 사회에서는 시각 자료의 이해 및 학습 능력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지만, 시각 자료 관련 선행 연구는 주로 개별 교과의 관점에서 진행된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학생은 여러 교과를 통해 다양한 시각 자료를 접하고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로서의 학생의 입장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여러 교과를 아우를 수 있는 시각 자료의 유형과 시각 자료 이해·활용 능력의 개념을 탐색하고, 이에 기반해 초·중·고의 국어, 사회, 수학, 과학, 미술 5개 교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교과서에 제시된 시각 자료를 분석했다. 설문 및 면담 조사를 통해 시각 자료 이해·활용 능력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였고, 조사 결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교과교육에서의 시각 자료 이해·활용 능력 제고를 위한 전략을 제안하였다. 연구 내용의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시각 자료 이해·활용 능력의 개념과 능력 범주 구분

이 연구에서는 시각 자료를 ‘학교 교육의 목적으로 학생들의 학습이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되는 시각 기반의 자료로, 교과서나 교재 및 디지털 기기를 매개로 하여 제공되는 그림, 사진, 그래프, 지도, 다이어그램, 동적 시각 자료 등의 2차원적 시각 표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시각 자료의 유형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나 학교 현장에서 통용될 수 있도록 시각 자료의 유형을 그림(작품, 삽화, 만화), 사진, 그래프, 지도, 다이어그램(모형/모식도, 그래픽 조직자, 인포 그래픽), 동적 시각 자료(동영상, 시뮬레이션/공학적 도구, AR/VR) 6가지로 나누어 하위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 의미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시각 자료 이해· 활용 능력의 범위와 수준을 제시한 연구 및 교육목표분류학의 관점에서 해석한 연구를 참고하여 시각 자료 이해·활용 능력의 범주를 ‘시각 자료의 이해’, ‘시각 자료의 적용 및 전환’, ‘시각 자료의 비판적 평가’, ‘시각 자료의 구성 및 제작’의 4개로 구분하였다(<표 1> 참조).

<표 1> 시각 자료 이해·활용 능력의 범주 구분

시각자료 유형별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

시각 자료 이해·활용 능력의 범주 구분의 틀을 적용해서 초·중·고의 5개 교과를 대상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국어는 매체와 광고, 사회는 지도, 수학과 미술은 그림, 과학은 다이어그램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고 시각 자료를 주요한 학습내용으로 다루는 교과일수록 교육과정에 관련 내용이 많이 등장했다.
그밖에 시각자료의 하위 유형을 포함한 워드클라우드 분석결과를 통해 교과별로 다양한 종류의 시각자료가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각 자료 이해·활용 능력의 범주로 분석했을 때는 국어는 시각 자료의 적용 및 전환(44.0%), 사회, 수학, 미술은 시각 자료의 이해 (사회 42.3%, 수학 49.0%, 미술 51.0%), 과학은 시각 자료의 구성 및 제작(40.0%)과 관련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시각자료의 비판적 평가 능력의 비중이 국어 16.7%, 사회 11.4%, 수학 7.0%, 과학 3.6%, 미술22.0%로 낮은 편이어서, 시각 자료를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우리가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의 시각 자료를 분석한 결과 흥미로운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같은 유형의 시각자료라도 교과별로 서로 쓰임이 달랐다.
예를 들면 미술은 고흐의 올리브 나무라는 작품을 작품 자체에 대한 이해를 위해 다루지만 사회에서는 지중해성 기후지역에 대한 정보 분석 목적으로 쓰는 식이다. 과학은 작품 제작에 쓰인 과학적 원리를 소개하기 위해 작품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래프의 경우 수학교과에서는 초등학교 때부터 체계적으로 다루는 중요한 내용인 반면, 국어는 글을 이해하는 보조 수단으로 다루기 때문에 그래프를 읽게 하기보다는, 그림이나 아이콘처럼 활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지도의 경우 사회에서는 색을 통해 높낮이를 구분하고 분석하게 하지만, 미술은 마치 작품처럼 다양한 색으로 아름답게 표현했다. 지도가 핵심적인 학습내용이 아닌 교과들은 축척이나 방위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기울여 표현하기도 했다.
이처럼 교과에 따라 시각자료에 대한 접근 방식이 다를 수 있다. 하지만 학생들은 여러 교과의 시각자료를 동시에 학습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교과의 차이를 넘어서 학생의 입장을 고려한 주의 깊은 접근이 필요한 이유이다. 그래서 수학에서 그래프를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더라도 사회나 과학과의 연계성, 위계성을 고려해야 하고 과학에서 많이 활용하는 다이어그램처럼 추상적인 개념을 표상하는 시각자료는 표현의 정확성이나 오개념 형성 여부 등을 잘 살펴야 한다.
사회에서는 실생활의 다양한 정보를 그래프, 지도, 사진 등으로 표현하는데, 한꺼번에 여러 종류의 시각 자료를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분석의 수준이나 제공하는 정보의 양이 적절한지, 지나치게 많거나 너무 어려운 것은 아닌지를 충분히 검토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매체의 다양화와 디지털 인프라의 확대로 동적 시각자료의 활용도 활발하다. 학생들은 특히 이런 종류의 시각자료를 재미있어 하고 선호한다. 하지만 교사들은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는 여전히 부족하고 AR/VR /XR등과 같은 새로운 유형의 시각자료도 더 많이 보급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한다.

[그림 1] 교과서의 시각 자료 예시

시각 자료 이해ㆍ활용 능력 제고 전략 개발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교사와 학생의 시각 자료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기반해 시각 자료의 이해·활용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전략의 원리를 도출하였다. 시각 자료의 이해 능력 제고를 위해 본 연구에서 4개의 범주로 구분한 시각 자료 이해·능력이 고르게 포함되도록 수업 전략의 형태로 12가지를 개발하였다.
이 전략은 ‘이 수업 전략의 필요성 및 목적, 수업 전략의 적용, 시각 자료의 예시, 이 수업 전략의 기대 효과, 이 수업 전략의 확장’의 5가지 부분으로 구성하였고, 특히 ‘이 수업 전략의 확장’을 통해 다양한 학교급과 교과에서 활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발한 전략이 교사들의 효과적인 시각 자료 교육에 쓰이고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맺음말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전으로 학생들은 이미지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 하지만 시각자료 관련 연구는 그 범위가 방대해서 학생들이 배우는 여러 교과의 것을 함께 비교분석해서 그 특징이나 차이점을 포착하는 연구는 거의 수행된 바가 없다. 이 연구는 기초 연구의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 주제를 이론적 측면에서 심화할 수 있는 시각 자료 이해·활용 능력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각 교과별로 본 연구에서 접근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시각 자료 이해·활용 능력 관련 후속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교사 면담 결과 및 수업 전략 개발 과정을 통해 시각 자료 이해·활용 능력 제고를 위해 학교 현장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도 수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의미 있는 주제인 만큼 후속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그림 2] 시각 자료 이해ㆍ활용 능력 제고를 위한 수업 전략의 개요

참고문헌

  • 김혜숙, 장유정, 박상돈, 곽혜정, 임해미, 변태진, 김종윤(2021). 교과교육에서의 시각자료 이해·활용 능력 제공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21-7.

  • OECD. (2019). PISA 2021 Creative Thinking Framework(third Draft)

  • https://www.oecd.org/pisa/publications/PISA-2021-creative-thinking-framework.pdf (검색일: 2021.10.23.).

  • 최성길, 최원회, 강창숙, 박상준, 최병천, 조일현, 권태덕, 이수영, 조철민, 조성백, 김상희, 강봉균, 정민정, 김연주. (2020a). 중학교 사회 ① 교과서. 서울: 비상교육.

  • 김성진, 안형수, 조용근, 최미화, 김홍석, 장철한, 김혜경, 권효식, 오현선, 구향모, 강희정, 김대준, 이진우, 류형근, 문무현, 이유진, 유명익. (2020). 중학교 과학 1 교과서. 서울: 미래엔.

  • 교육부. (2021). 초등학교 국어 5-1 ㉮ 교과서.

  • 최찬경, 윤정민, 김선경, 김보연, 안현이, 한다운. (2020).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서울: 금성출판사.

  • 교육부. (2021). 초등학교 사회 4-1 교과서.